17대 대통령 선거 대선 후보 결과 득표율
2007년 치러진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보수 정권의 복귀를 알린 역사적 선거였습니다. 투표율, 후보자, 주요 쟁점, BBK 논란까지! 이 선거의 전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했습니다.
1. 17대 대통령 선거 개요
제17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는 2007년 12월 19일 실시되었습니다. 이 선거는 여러 측면에서 역사적인 선거로 기록되었는데요,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0년 만의 보수 정권 복귀
- 역대 최저 투표율 기록
- 전직 대통령 수사 중 선거 진행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해 정동영 후보를 큰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습니다.
👇17대 개표방송 다시보기👇
2. 선거 결과 득표율
총 유효 투표수는 약 2,360만 표였습니다. 이명박 후보가 압도적으로 승리했으며, 다음은 상위 후보의 득표 현황입니다.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명박 | 한나라당 | 11,492,389 | 48.67% |
정동영 | 대통합민주신당 | 6,174,681 | 26.14% |
이회창 | 무소속 | 3,559,963 | 15.07% |
문국현 | 창조한국당 | 1,375,498 | 5.82% |
권영길 | 민주노동당 | 712,121 | 3.02% |
이명박과 정동영 간 표차는 무려 531만 표로, 직선제 이후 최대 격차였습니다.
3. 주요 후보자 프로필
각 후보들의 주요 이력과 정치적 배경은 선거의 흐름을 좌우했습니다.
- 이명박 (한나라당): 전 서울시장, 기업인 출신
-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전 통일부 장관, 국회의원
- 이회창 (무소속): 전 한나라당 총재, 두 번 대선 출마 경력
- 문국현 (창조한국당): 전 유한킴벌리 CEO, 깨끗한 이미지 강조
- 권영길 (민주노동당): 진보 진영 대표주자
4. 낮은 투표율, 무엇이 문제였나
이 선거의 투표율은 63.0%로, 당시 역대 최저였습니다.
국민의 정치 불신, 무관심, 후보에 대한 실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또한, 연말이라는 시기적 요인과 BBK 사건 같은 혼탁한 선거 환경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5. 선거를 달군 주요 쟁점
이번 대선은 후보 간 정책 대결보다는 비리 의혹과 이미지 정치가 중심이었습니다.
- BBK 주가조작 의혹: 이명박 후보는 BBK 관련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음.
- 이회창의 출마: 세 번째 대선 출마로 보수 표 분산 우려 발생.
- 정동영의 노인 폄하 발언: ‘노인들은 투표하지 말라’는 식의 발언으로 큰 논란.
👇17대 대선 주요사건👇
6. 지역별 득표 양상
이명박 후보는 영남, 수도권, 충청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정동영 후보는 호남 지역에서만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런 지역 구도는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7. 선거 이후의 평가
선거 자체는 큰 물리적 충돌 없이 마무리되었으나, 공정성과 신뢰성 면에서는 여러 비판이 있었습니다.
- 후보 검증 부족
- 네거티브 위주의 캠페인
- 저조한 투표율
그러나 정권 교체라는 의미에서는 큰 변화를 이끌어낸 선거였습니다.
8. 당시 주요 인물들의 현재
이 선거에 출마했던 주요 인물들은 선거 이후 다양한 정치적 여정을 겪었습니다.
- 이명박: 대통령 재임 후 다스 실소유주 논란 등으로 유죄 판결
- 정동영: 이후에도 정계 활동 지속, 현재 더불어민주당 소속
- 이회창: 정계에서 은퇴, 이후 공식적인 정치 활동 없음
- 문국현: 창조한국당 해산 후 정치적 영향력 약화
- 권영길: 진보 정치 발전에 기여, 이후 퇴임
9. 자주 묻는 질문 (Q&A)
Q1. BBK 사건은 무엇인가요?
A. BBK는 투자자문회사로, 주가조작 사건에 이명박 후보의 연루 여부가 논란이었습니다. 검찰은 당시 무혐의 처분을 내렸습니다.
Q2. 이회창 후보는 왜 무소속으로 나왔나요?
A. 보수 성향이 강한 이회창 전 총재는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출마했으나, 보수 표 분산이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Q3. 왜 투표율이 낮았나요?
A. 국민의 정치에 대한 냉소, 비호감 후보들, 연말 일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Q4. 17대 대선에서 정책 논의는 있었나요?
A. 일부 후보들은 경제 회복이나 복지 확충 공약을 내세웠지만, 대체로 비방과 의혹 중심의 선거전이었습니다.
Q5. 이번 선거가 미친 장기적 영향은 무엇인가요?
A. 보수 정권의 귀환과 향후 5년의 경제 우선 정책이 국가 정책 방향을 크게 바꾸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0. 17대 대선이 남긴 것
제17대 대선은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큰 전환점이었습니다.
- 보수 정권 복귀
- 지역주의의 재확인
- 정치 불신 심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은 경제 우선주의, 대기업 중심 정책으로 이어졌으며, 이후 한국 정치에 깊은 그림자를 드리웠습니다.
다음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보여준 사례이기도 합니다.
*참고사항*
본 글은 공공 자료와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정보 콘텐츠입니다. 정치적 입장을 담지 않으며, 독자의 판단과 해석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모든 정보는 출처를 명확히 하며, 허위 사실 유포가 아님을 밝힙니다.
댓글